본문 바로가기
Data Engineering

[데이터] 암묵지와 형식지, 4단계 지식전환단계 (공통화, 표출화, 연결화, 내면화)

by jangThang 2025. 3. 27.
반응형

 암묵지와 형식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지식창조 이론 중 하나인 SECI모델을 살펴봅니다.

 

[ Contents ]

     

     

    1. 암묵지와 형식지

    1) 암묵지(Tacit Knowledge)

    암묵지: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전달하는 지식

     

     '암묵지'는 말이나 글로 쉽게 표현하기나 전달하기 어려운 지식을 말합니다. 대개 몸으로 체득하는 지식이며, 주로 견습이나 멘토링 등을 통해서 전수됩니다.

     예를 들면 자전거 타는 법이나 장인의 기술 등이 있습니다.

     

     

    2) 형식지(Explicit Knowledge)

    형식지: 매뉴얼, 문서를 통해 전달 가능한 지식

     

     '형식지'는 매뉴얼이나 문서를 통해서 전달하는 지식을 말합니다.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지식 전달이 용이합니다. 

     예를 들면 업무 매뉴얼이나 학술 논문, 수학 공식 등이 있습니다.


     

     

    2. 4단계 지식전환단계 (SECI 모델)

    1) 공통화(사회화, Socialization)

    암묵지 → 암묵지

     

     대화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직접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업무를 인수인계할 때, 문서 없이 말로만 설명하면 '공통화' 방식인 거죠. 헬스장에 가서 PT를 받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2) 표출화(Externalization)

    암묵지 → 형식지

     

     글 또는 도표를 통해서 문서화해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업무 인수인계서, 업무 매뉴얼을 만드는 건 '표출화'에 해당합니다.

     

     

    반응형

     

    3) 연결화(결합, Combination)

    형식지 → 형식지

     

     형식지들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고, 통합하는 작업을 '연결화'라고 합니다.

     아래 글처럼 여러 알고리즘 설명글을 하나로 모으는 작업을 '연결화'의 예시로 볼 수 있겠죠.

     

    2022.02.27 - [분류 전체보기] - [Algorithm] 길라잡이

     

    [Algorithm] 길라잡이

    Algorithm 게시판은 '알고리즘 이론/개념'을 설명하는 글과, 이와 관련된 '문제 풀이'(백준/프로그래머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래에서 알고리즘 유형별 개념/이론 및 응용문제 풀이를 보실 수

    star7sss.tistory.com

     일종의 통합 매뉴얼, 요약 정리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4) 내면화(Internalization)

    형식지 → 암묵지

     

     문서나 매뉴얼을 보고 지식을 체화하는 과정을 '내면화'라고 합니다.

     맨처음에는 매뉴얼을 보면서 일하지만,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매뉴얼을 보지 않고도 일할 수 있게 되죠.

     제품설명서를 읽고 나서, 사용법을 터득하게 되는 것도 '내면화' 과정입니다.


     

     

    3. SECI 모델 예시

    공통화/사회화(Socialization) 셰프 견습생이 요리과정을 지켜보며 재료 다루는 법을 배움 암묵지 → 암묵지
    표출화(Externalization) 요리사가 조리 과정을 정리한 레시피를 만듬 암묵지 → 형식지
    연결화/결합(Combination) 여러 레시피를 수집해서 새로운 퓨전요리 레시피를 만듬  형식지 → 형식지
    내면화(Internalization) 레시피 보고 만들다가, 점차 보지 않고도 만들 수 있게 됨 형식지 → 암묵지

     

     

     

    star가 되고나서 Tistor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