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Contents ]
1. 문제 (링크 참조)
1703번: 생장점
branchorama 나무는 특이한 규칙을 가지고 성장합니다. 어린 branchorama 초목은 하나의 잎을 꼭대기에 가진 가는 묘목이며, 그 잎에는 생장점이 있습니다. 성장하는 계절 동안 나무의 생장점들은 여
www.acmicpc.net
2. 문제 풀이
가지의 수(splitting factor)와 가지치기한 수(p)가 주어집니다. 가지당 1개씩 나뭇잎이 붙어있다고 가정하므로, 가지의 수가 곧 나뭇잎의 수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나뭇잎의 수를 구해야 합니다.
3.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while True:
lst = list(map(int, input().split()))
if lst[0] == 0:
break
n = 1
for i in range(lst[0]):
sf = lst[2*i + 1]
p = lst[2*i + 2]
n = n*sf - p
print(n)
가지의 수만큼 곱하고, 가지치기 한 만큼 빼주면서 나뭇잎의 수를 구합니다.
반응형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현/수학] 백준 5612 터널의 입구와 출구 - 파이썬(Python) (0) | 2023.02.21 |
---|---|
[구현/수학] 백준 2721 삼각수의 합 - 파이썬(Python) (0) | 2023.02.20 |
[구현/수학] 백준 5613 계산기 프로그램 - 파이썬(Python) (1) | 2023.02.18 |
[구현/수학] 백준 15917 노솔브 방지문제야!! - 파이썬(Python) (1) | 2023.02.17 |
[구현/수학] 백준 4470 줄번호 - 파이썬(Python) (0) | 2023.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