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울대수의 기본법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울대수는 0과 1로 이루어진 논리식을 계산하는 공식을 다룹니다.
[ Contents ]
1. 교환법칙, 결합법칙
A + B = B + A
A*B = B*A
(A+B)+C = A+(B+C)
(A*B)*C = A*(B*C)
부울대수는 0(False)과 1(True)을 사용한 논리식입니다. True, False만 가능한 Bool(Boolean) 타입도 여기서 나왔습니다.
부울대수도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이 허용되며 +는 OR연산, *는 AND연산을 뜻합니다.
2. 분배법칙
A*(B+C) = A*B + A*C
A+(B*C) = (A+B) * (A+C)
부울대수에서 AND(*)의 OR(+)의 연산 우선순위는 같습니다. 따라서 A+(B*C)도 (A+B) * (A+C)로 분배 가능함에 유의해야 합니다.
3. 드모르간 법칙
문자 위 -는 Not 연산을 뜻합니다.
집합의 드모르간 법칙과 동일하며, 밴다이어그램을 그려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흡수 법칙
A + A*B = A
A * (A+B) = A
다른 항에도 동일하게 포함되어 있으면, 공통항으로 귀결되는 법칙입니다.
이는 분배법칙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A + A*B = A(1 + B) = A
A * (A+B) = A*A + A*B = A + A*B = A(1+B) = A
위와 같이 결국 A로 흡수됩니다. 알아두면 빠르게 논리식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구조] 캐시 메모리 사상(Mapping, 매핑) 방식: 직접사상, 연관사상, 집합 연관사상 (0) | 2023.07.20 |
---|---|
[컴퓨터구조] 연산 속도와 메모리 용량의 단위와 호칭: KB, MB, GB, ... (0) | 2023.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