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Contents ]
1. 문제 (링크 참조)
2587번: 대표값2
어떤 수들이 있을 때, 그 수들을 대표하는 값으로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은 평균이다. 평균은 주어진 모든 수의 합을 수의 개수로 나눈 것이다. 예를 들어 10, 40, 30, 60, 30의 평균은 (10 + 40 + 30 + 60 +
www.acmicpc.net
2. 문제 풀이
5개의 자연수가 주어질 때, 평균과 중앙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2022.01.19 - [Algorithm] - [Algorithm] 단골 1번 문제, 구현 / 수학
[Algorithm] 단골 1번 문제, 구현 / 수학
[ Contents ] 1. 구현 단순히 '구현'만 하면 되는 문제 유형입니다. 문제를 이해하고 입력에 맞춰 적절한 출력만 하면 됩니다. 특별한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래밍적 기법 없이, 단순 제어문만 사용하
star7sss.tistory.com
출력 조건을 보시면, 평균과 중앙값은 모두 자연수입니다. 소수점이 나오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3. 코드
numlist = []
for i in range(5):
numlist.append(int(input()))
print(sum(numlist)//5) #평균
numlist.sort()
print(numlist[2]) #중앙값
'//'연산자를 사용해서 정수형으로 평균을 구했습니다. 중앙값은 정렬한 뒤 2번 항목을 출력했습니다.
반응형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현/수학] 백준 9325 얼마? - Python (0) | 2022.02.05 |
---|---|
[구현/수학] 백준 9625 BABBA - Python (0) | 2022.02.05 |
[구현/수학] 백준 1735 분수 합 - Python (0) | 2022.02.05 |
[Algorithm] 최대공약수(GCD) 구하기: 유클리드 호제법 (0) | 2022.02.05 |
[구현/수학] 백준 2460 지능형 기차 2 - Python (0) | 2022.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