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의 기본 태그를 알아봅니다.
[ Contents ]
1. <h> 제목 태그
<h1>jangThang</h1>
<h2>jangThang</h2>
<h3>jangThang</h3>
<h4>jangThang</h4>
<h5>jangThang</h5>
<h6>jangThang</h6>
제목 태그는 'Heading'의 약자로 h를 사용합니다. 중요도에 따라 h1 ~ h6까지 있으며, h1이 가장 큽니다. 주로 h1을 제목으로 사용하고, h2~h6은 부제목으로 사용합니다. 특히 <h1>은 페이지의 제목이므로, 꼭 1개만 사용해야 좋습니다. (웹 크롤러가 <h1>태그를 페이지의 제목으로 인식하고, 페이지의 주제 및 내용을 분류합니다.)
세부적인 특징으로는 '굵게(bold)' 표시되며, h태그가 끝나면 자동으로 줄바꿈이 됩니다. 그리고 제목 하단에는 여백이 넉넉하게 주어집니다.
2. <p> 문단 태그
<p>star가 되고나서 Tistory 입니다. 주소는 https://star7sss.tistory.com 입니다.</p>
<p>주로 IT, 데이터 분석, AI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p>
문단 태그는 'Paragraph'의 약자로 p를 사용합니다. 주로 줄글을 적을 때 이용합니다.
p태그 안에 있는 내용은 하나의 '문단'으로 구성되며, 창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줄 수가 조정됩니다. 또한 p 태그가 끝나면 자동으로 줄바꿈이 됩니다.
3. 리스트 태그
1) <ol> 순서가 있는 리스트
<ol>
<li>닉네임: jangThang</li>
<li>블로그: star가 되고나서</li>
</ol>
ol은 'Ordered list'의 약자로, 순서가 있는 리스트입니다. 리스트 항목은 <li> 태그로 추가하며, 자동으로 순서가 매겨집니다.
<ol>
<li>닉네임: jangThang
<li>블로그: star가 되고나서
</ol>
<li> 태그의 경우, 굳이 </li>로 닫아주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다음 <li>를 태그를 만나면 이전 항목이 끝나고 새로운 항목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하지만, 닫아주는 게 좋습니다.
태그 속성 | |
<ol start="n"> | n부터 항목번호가 시작 |
<ol type="1/a/A/I/i"> | 해당 스타일로 항목 번호가 매겨짐 |
<ol reversed> | 항목 번호가 역순으로 매겨짐 |
추가적인 태그 속성값은 위와 같습니다.
2) <ul> 순서가 없는 리스트
<ul>
<li>닉네임: jangThang
<li>블로그: star가 되고나서
</ul>
ul은 'Unordered list'의 약자로, 순서가 없는 리스트를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동그라미 원'을 줄머리 기호로 제공합니다.
<ul type="circle">
<li>닉네임: jangThang
<li>블로그: star가 되고나서
</ul>
ul 태그는 type 속성값으로 줄머리 기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단, ul태그의 type 속성은 HTML5부터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ul style="list-style-type:square;>와 같이, css를 통해서 직접 지정해야 합니다.
<ul>
<li>닉네임: jangThang
<ul>
<li>블로그: star가 되고나서
<ul>
<li>주소: star7sss.tistory.com</li>
<ul>
<li>감사합니다.</li>
</ul>
</ul>
</ul>
</ul>
ul 태그는 중첩으로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글머리 기호를 변경합니다. [disc - circle - square] 순으로 단계가 설정되며, 그 아랫단계는 square 모양으로 고정됩니다.
3) <dl> 사전 리스트
<dl>
<dt>블로그 이름</dt>
<dd>: star가 되고나서</dd>
<dt>운영주</dt>
<dd>: jangThang</dd>
</dl>
<dt>태그 안에 '항목명'을 쓰고, <dd>태그에 항목에 대한 설명을 넣습니다.
dd 태그는 자동으로 들여쓰기가 되며, 항목당 2개 이상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시맨틱 태그, 웹페이지의 구조를 알려주는 주석 (0) | 2022.04.27 |
---|---|
[HTML] 하이퍼링크 태그 <a> (새 탭으로 열기, 페이지 내 이동) (0) | 2022.04.26 |
[HTML] 띄어쓰기, 줄바꿈 하는 방법 (feat, pre태그 / 유니코드 특수문자 삽입) (0) | 2022.04.25 |
[HTML] HTML의 태그 구성 요소와 문서 기본 구조 (0) | 2022.04.23 |
[HTML]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언어란? (0) | 2022.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