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 통신의 2가지 전송형식에는 '베이스밴드'와 '브로드밴드' 방식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Contents ]
1. 베이스밴드 (Baseband,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를 변조없이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
디지털 신호는 장거리 전송이 어렵고, 노이즈에 쉽게 변형되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근거리 전송에 이용되며, TDMA(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합니다. 매체는 꼬임선, 동축케이블을 사용하며, Half-Duplex(반이중 통신)을 지원합니다.
※ Half-Duplex(반이중 통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송수신은 불가능 (ex 무전기, WiFi)
2. 브로드밴드 (Breadband, 광대역)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
아날로그 신호는 노이즈에 강해 장거리 통신에 주로 이용됩니다. FDMA(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며, Full-Duplex(전이중 통신)을 지원합니다. (통신 매체: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 Full-Duplex(전이중 통신):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 (ex LTE)
반응형
'CS > 데이터통신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통신] 체크섬, 순환 중복 검사(CRC)를 이용한 오류 검출 방식 (0) | 2023.05.14 |
---|---|
[데이터통신] 패리티 비트를 이용한 오류 검출 방식: 수직 중복 검사(VRC), 수평 중복 검사(LRC) (0) | 2023.05.11 |
[데이터통신] 전송속도와 전송량: 변조속도(Baud), 데이터 전송속도(bps), 나이퀴스트 정리, 샤논 정리 (0) | 2023.05.11 |
[데이터통신] PCM: 표본화(샘플링), 양자화, 부호화, 복호화, 여과(필터링) (0) | 2023.05.10 |
[데이터통신] 디지털 - 아날로그 신호 변환: ASK, FSK, PSK, QAM (0) | 2023.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