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L (Programming Language)/JavaScript

[JS] 자바스크립트 함수 정의 방법: 함수 선언식과 (익명)함수 표현식

by jangThang 2023. 9. 13.
반응형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총 6가지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함수 선언식'과 '함수 표현식'입니다. 이 둘의 용법과 예시, 차이점을 알아봅니다.

 

[ Contents ]

     

     

    1. 함수 선언

    function 함수명(파라미터) {

    }

     가장 무난한 방법입니다. 

     

    console.log(plus(1, 2));
    
    function plus(a, b) {
        return a+b;
    }

      함수는 실행 시간 이전에 정의하므로, 선언문이 아래에 있어도 호출할 수 있습니다.

     

     

     

    2. 함수 표현식

    var 함수명 = function (파라미터) {

    }

     모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자주 보이는 함수 표현식입니다. 마치 함수도 변수 선언하듯이 정의할 수 있어요.

     

    let plus = function(a, b) {
        return a+b;
    }
    
    console.log(plus(1, 2));

     var 대신에 let, const를 사용해서 선언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함수 표현식은 호이스틱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선언문이 앞에 있어야만 호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3. 함수 표현식 - 화살표 함수

    const 함수명 = (파라미터) => {

    }

     마찬가지로 var, let 모두 가능합니다.

     function이라는 예약어조차 생략한 문법으로, 화살표(=>)로 함수를 표현합니다.

     

    const plus = (a, b) => {
        return a+b;
    }
    
    console.log(plus(1, 2));

     기존의 함수 선언식에서 벗어나, 함수를 표현식으로 바꾼 이유는 '익명 함수', '일회용 함수'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추후 글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star가 되고나서 Tistor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