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보안22

[보안] 공개키(비대칭) 암호: Rabin, ElGamal, ECC 공개키(비대칭) 암호 알고리즘에는 대표적으로 RSA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외에도 소인수 분해를 이용한 Rabin과 이산대수를 이용한 ElGamal 알고리즘, 타원곡선을 이용한 ECC 알고리즘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소인수 분해를 이용한 비대칭(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1) RSA 2023.05.16 - [CS] - [보안] RSA의 개념과 특징, 예제: 소수를 이용한 비대칭키(공개키) 암호화 기법 [보안] RSA의 개념과 특징, 예제: 소수를 이용한 비대칭키(공개키) 암호화 기법 RSA 알고리즘에 대해서 알아보고, 암복호화하는 법과 그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 Contents ] 1. RSA 소수를 이용한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RSA는 개발자들의 이름에서.. 2023. 6. 8.
[보안] 방화벽의 개념과 방화벽의 작동 방식: 인바운드 규칙, 아웃바운드 규칙, 블랙리스트, 화이트리스트 방화벽은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트래픽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시스템입니다. 정책에서는 어떤 IP와 포트로 들어오는지에 따라 차단 여부를 정하며, 크게 인바운드 규칙과 아웃바운드 규칙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방화벽 (Fire Wall) 미리 정의된 보안규칙에 의거하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보안 시스템 화재현장에서 불길과 연기를 막는 방화벽처럼, 외부로의 공격과 악성 트래픽을 막는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입니다. 대부분의 방화벽은 '정책(규칙)' 기반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 정책에 따라 트래픽을 허용 또는 차단합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이런 팝업창을 보곤 하죠. 이는 방화벽 정책에 의해 차단된 경우입니다. 대부분의 방화벽은 성악설을 믿는 신.. 2023. 5. 18.
[보안] 패스워드 공격유형: 사전공격, 무차별 공격, 백도어, 사회공학, 스니핑, 패스워드 파일 접근 요약 [ Contents ] 1. 사전 공격 (Dictionary Attacks) 패스워드로 사용할 만한 문자열을 사전(Dictionary)으로 만들고, 이를 하나씩 대입하는 공격 방식 군대의 비밀번호는 q1w2e3r4! 아니면 q1w2e3r4@이라는 설이 있을 정도로, 자주 사용하는 비밀번호 패턴이 있죠. 이를 모아둔 파일이 '패스워드 사전'입니다. 사전에 있는 문자열을 하나씩 사용하면서 패스워드 알아내는 공격방식입니다. 사전 공격의 대응책은 '솔트(Salt)'입니다. 패스워드는 고유값이 아니기 때문에, 동일한 패스워드가 있을 수 있으며 해시값도 동일합니다. 이는 해커에게 힌트가 될 수 있으며, 미리 계산한 해시값을 사용해서 패스워드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패스워드에 고유한 솔트값을 주어, .. 2023. 5. 18.
[보안] RSA의 개념과 특징, 예제: 소수를 이용한 비대칭키(공개키) 암호화 기법 RSA 알고리즘에 대해서 알아보고, 암복호화하는 법과 그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 Contents ] 1. RSA 소수를 이용한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RSA는 개발자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소수를 이용한 대표적인 공개키 알고리즘입니다. 2023.05.15 - [CS] - [보안] 대칭키 방식과 비대칭키(공개키) 방식: 개념과 장단점, 차이점 [보안] 대칭키 방식과 비대칭키(공개키) 방식: 개념과 장단점, 차이점 암호통신에서는 암호화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마치 자물쇠와 같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할 때에도 '키(열쇠)'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키에는 크게 '대칭키' 방식과 '비대칭키(공개키)' star7sss.tistory.com RSA에서 소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소인수분해하고 소수를 판.. 2023. 5. 16.
[보안] 스니핑, 스누핑, 스푸핑의 개념과 차이점, 종류: IP, MAC, ARP, DNS 스누핑 스니핑, 스누핑, 스푸핑은 이름이 비슷한 공격 기법입니다. 개념도 비슷해서 오해하기 쉬운 세 용어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스니핑 (Sniffing) 네트워크 상 정보를 몰래 훔쳐보는 행위 sniff는 '코를 킁킁거리다'라는 뜻으로, 데이터를 몰래 훔쳐보는 행위입니다. 네트워크 상 데이터는 '패킷(Packet)' 단위로 전송되며, 오고가는 패킷들을 가로채서 분석하거나 저장합니다. 개인정보나 패스워드와 같이 민감한 정보도 당연히 패킷을 통해 오가며, 스니핑에 의해 탈취될 수 있습니다. 2. 스누핑 (Snooping) 네트워크 상 정보를 감시, 분석하는 행위 spoof는 '염탐하다'라는 뜻으로, 스니핑과 개념이 비슷해서 종종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스니핑이 패킷을 통해 '정.. 2023. 5. 16.
[보안] 파일 접근권한과 chmod, umask 명령어 사용법 (문자, 숫자 표기법) 유닉스/리눅스 계열 서버에서 파일의 접근권한은 chmod와 umask 명령어로 관리합니다. 파일 접근권한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파일 접근권한을 변경할 수 있는 chmod 명령어와 기본값을 설정하는 umask 명령어에 대해 알아봅니다. [ Contents ] 1. 파일 접근권한 파일 접근권한은 총 12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수권한, 소유자, 그룹, 외부 사용자별로 3bit씩 할당되어 있어 보통 8진수로 표현합니다. r은 Read(읽기), w는 Write(쓰기), x는 eXecution(실행)으로 각 비트로 해당 권한의 유무를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5은 8진수로 101이며 rwx에서 읽기와 실행 권한만 있고 쓰기 권한은 없는 경우입니다. suid (setuid) 소유자(user) 권한의 실행(x) .. 2023. 5. 16.
[보안] 접근통제(Access Control) 3단계: 식별, 인증, 인가 인가된 사용자만 시스템에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접근 통제'라고 합니다. 접근 통제는 식별, 인증, 인가 3단계를 거치며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식별 (Identification) 접근을 요청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작업 흔히 '아이디(ID)'라 불리는 영문의 풀네임은 'Identifier'로 식별자입니다.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를 시스템에 제시하며, 시스템은 해당 아이디가 있는지 찾습니다. 여기서 아이디는 통상적인 문자열, 번호(학번/사번), 생체정보(지문, 홍채), 출입카드 등 다양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2. 인증 (Authentication) 해당 ID의 사용자가 맞는지 확인하는 작업 보통 패스워드(Password)로 많이 인증합니다. 로그인을 하기 위.. 2023. 5. 15.
[보안] 전자서명의 개념과 주요 기능: 위조불가, 인증, 부인 방지, 변경 불가, 재사용 불가 전자서명의 개념과 그 주요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전자서명 개념 전자문서에 남긴 서명 통상 서명과 일맥상통합니다. 그저 오프라인 문서가 아니라, 온라인 전자문서에 남기는 것뿐입니다. 주로 확인, 결재, 승인에 사용되며 공문서에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2. 전자서명의 주요 기능 흔히 '계약서'를 쓰는 이유는 나중에 부인하지 못하도록, 증거를 남겨두기 위함입니다. 계약서 내용이나 자신이 한 서명을 부인하지 못하도록 전자서명은 아래와 같은 기능을 지원합니다. 1) 위조 불가 (Unforgeable) 적법한 서명자만이 전자서명 생성 가능 2) 인증 (User authentication) 전자서명 서명자를 누구든지 검증할 수 있어야 함 3) 부인 방지 (Non-repudiation).. 2023. 5. 15.
[보안] 대칭키 방식과 비대칭키(공개키) 방식: 개념과 장단점, 차이점 암호통신에서는 암호화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마치 자물쇠와 같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할 때에도 '키(열쇠)'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키에는 크게 '대칭키' 방식과 '비대칭키(공개키)'방식이 있으며 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대칭키 방식 암호화 키 = 복호화 키 자물쇠를 잠구는 열쇠와 여는 열쇠는 통상적으로 같죠. 이와 같이 암호화할 때와 복호화할 때의 키가 같은 방식을 '대칭키 방식'이라고 합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암호문과 '키'를 같이 수신자에게 전달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아무리 비싼 자물쇠를 쓰더라도, 키를 도난당하면 말짱 도루묵이죠. 2023.05.12 - [CS] - [보안] 키 배송 문제와 해결방안: 사전 공유, 키 배포센터, Diffie-ellman.. 2023.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