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680 [Brute Force] 백준 1182. 부분수열의 합 - Python [ Contents ] 1. 문제 (링크 참조) 1182번: 부분수열의 합 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N과 정수 S가 주어진다. (1 ≤ N ≤ 20, |S| ≤ 1,000,000) 둘째 줄에 N개의 정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의 절댓값은 100,000을 넘지 않는다. www.acmicpc.net 2. 문제 풀이 N개의 정수에서 뽑은 부분 수열의 합이 S가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모든 경우의 수를 시험해봐야 하므로, 브루트 포스문제입니다. 2022.01.16 - [Algorithm] - [Algorithm] 브루트 포스(Brute Force)는 노가다 기법? [Algorithm] 브루트 포스(Brute Force)는 노가다 기법? 1. 브루트 포스란? Bru.. 2022. 1. 18. [Brute Force] 백준 1759. 암호 만들기 - Python [ Contents ] 1. 문제 (링크 참조) 10819번: 차이를 최대로 첫째 줄에 N (3 ≤ N ≤ 8)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배열 A에 들어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배열에 들어있는 정수는 -100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다. www.acmicpc.net 2. 문제 풀이 암호는 "오름차순"으로 서로 다른 L개의 알파벳 소문자들로 구성되며, 최소 한 개의 모음(a, e, i, o, u)과 최소 두개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입력은 암호의 길이인 L과 사용 가능한 알파벳이 주어집니다. 단순히 길이가 L인 알파벳 나열이므로, 브루트 포스 접근법으로 풀이합니다. 2022.01.16 - [Algorithm] - [Algorithm] 브루트 포스(Brute Force)는 노가다 기법? .. 2022. 1. 17. [Brute Force] 백준 10819. 차이를 최대로 - Python [ Contents ] 1. 문제 (링크 참조) 10819번: 차이를 최대로 첫째 줄에 N (3 ≤ N ≤ 8)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배열 A에 들어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배열에 들어있는 정수는 -100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다. www.acmicpc.net 2. 문제 풀이 | A[0] - A[1] | + | A[1] - A[2] | + ... + | A[N-2] - A[N-1] | 주어진 N개의 정수를 임의의 순서대로 배열해서 최댓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왠지 모르게 오름차순 정렬한 뒤에, | A[N-1] - A[0] | + | A[N-2] - A[1] | + ... 이런 식으로 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절댓값의 합이니 | 음수 - 양수 | 또는 | 양수 -.. 2022. 1. 17. [Data Visualization] 게시판 소개 해당 게시판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데이터 시각화 도구는 'Python 라이브러리'와 '태블로 Tableau'를 사용합니다. 태블로는 최신 BI(Business Intelligence) 툴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많은 기업에서 태블로를 사용하고 있으며, 채용 우대사항에 '태블로 작업능력'이 추가되는 추세입니다. 다만 태블로는 유료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개인도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Tableau Public public.tableau.com 하지만 대학생이면 1년간 무료로 Tableau Desktop버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인도 Public 버전으로 무료로 웹상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esktop의 일부 기능이 제한되긴 하.. 2022. 1. 12. [Python] 파이썬이란? 개념과 응용, 공부방법 Contents 1. 인터프리터 언어 파이썬(Python)은 인터프리터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인터프리터 방식은 코드 한 줄씩 실행하며 결과를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에 반해 C, C++, Java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파일러 언어로 전체 코드를 컴파일합니다. 인터프리터 방식은 한 줄씩 실행하므로 중간 결과는 빠르게 살펴볼 수 있지만, 컴파일러 방식보다 비효율적이고 전체 실행속도가 느립니다. 컴파일러 방식은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통합개발환경)에서 전체 코드를 분석해서 효율적으로 컴파일해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Python은 간단한 문법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그만큼 속도가 느립니다. (고급언어의 특성) 2. 가장 인기.. 2022. 1. 8. 이전 1 ··· 73 74 75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