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

[디자인] 색상이 주는 지각적 효과와 감정적 효과의 종류와 예시

by jangThang 2025. 4. 5.
반응형

 디자인에서 색상에 따라 주는 지각적 효과와 감정적 효과의 종류와 예시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 지각적 효과 (Perceptual Effect)

사용자가 무엇을 보고,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관련된 효과

 

 사용자가 시각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한 방식이나 효과를 설명합니다. 흔히 크고 색이 강하면 중요하다는 느낌을 받고, 작고 색이 연하면 중요하지 않다는 느낌을 받는 것처럼 사용자가 지각하는 효과를 다룹니다.

 

 

1) 동화현상

인접 색에 가까운 것으로 느끼는 현상

 

  주변 색깔에 동화되어, 가까운 색으로 느끼는 현상입니다.

 

 

2) 잔상효과

자극 생긴 후 상이 그대로 남아 있는 현상

 

 오랫동안 응시하다가 다른 곳을 보면, 원래 보던 것에 잔상이 남는 현상입니다. 예전에 착시효과가 한창 유행했을 때, 이런 잔상효과를 이용한 게 많았죠. (ex 30초 동안 해당 그림을 보고 천장을 봐주세요 등)

 

 

3) 보색잔상

한 색을 일정 시간 동안 응시한 후, 하얀 배경을 보면 그 색의 보색이 잔상처럼 나타나는 현상

 

 빨간색을 보다가 다른 곳을 봤을 때, 청록색 잔상이 남아있는 현상을 '보색 잔상'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보색관계는 위와 같습니다.

 눈에는 각각 RGB를 담당하는 원추세포(색을 감지하는 세포)가 있는데, 한 가지 색을 오래 보면 그 색을 감지하는 세포가 지치게 됩니다. 그 상태에서 흰색을 보면 다른 원추세포가 더 강하게 반응해서 보색이 보인다고 하네요.

 예를 들어 빨간색을 보다가 흰 천장을 바라보면, 초록과 파랑을 감지하는 원추 세포가 더 강렬하게 반응해서 초록 + 파랑 = 청록색을 보게 된다고 합니다.

 

 

4) 색깔에 따른 지각효과

진출색: 앞으로 전진하는 듯한 색깔 (밝은색, 팽창색, 유채색)
후퇴색: 멀리 보이는 색깔 (어두운 색, 차가운 색)
팽창색: 크게 보이는 색깔 (밝은 색, 따뜻한 색)
수축색: 작게 보이는 색깔 (어두운 색, 차가운 색)

 

 밝고 유채색 계열의 색은 진출하는 듯한 느낌과 팽창하는 느낌을 줍니다.

 반면 어둡고 무채색 계열의 색은 멀리 보이고 작게 보이는 느낌을 주죠.


 

 

 

2. 감정적 효과 (Emotional Effect)

디자인이 사용자의 감정이나 기분에 미치는 영향

 

 감정적 효과는 구체적인 형상이나 의미, 관념이 떠오르는 효과를 말합니다.

 

반응형

 

1) 속도감

시간이 빨리 가는 듯한 느낌: 따뜻한 색 (빨강, 주황, 노랑)
시간이 천천히 가는 듯한 느낌: 차가운 색 (파랑, 남색)

 

 따뜻한 색깔은 활동적이고 역동적, 긴급한 느낌을 줍니다. 그래서 시간이 빠르게 가는 듯한 기분이 듭니다.

 반면 차가운 색은 상대적으로 시간이 느리게 가는 듯한 안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2) 온도감

따뜻한 느낌: 밝은 색 (빨강, 주황, 노랑)
차가운 느낌: 어두운 색 (파랑, 청록, 보라)

 

 

3) 무게감

가벼운 느낌: 밝은 색 (흰색, 노랑, 파스텔)
무거운 느낌: 어두운 색 (검정, 남색, 진한 보라)

 

 

4) 강약감

강함: 빨강, 검정
약함: 연보라, 회색, 민트

 

 얼마나 시선을 끄는지, 시각적 자극인 강한지를 나타냅니다.

 빨강과 검정은 강조나 경고 느낌이 강하지만, 연보라나 회색은 무난하게 어디든 쓸 수 있는 부드럽고 조화로운 색입니다.

 

 

star가 되고나서 Tistor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