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101

[데이터통신] 전송속도와 전송량: 변조속도(Baud), 데이터 전송속도(bps), 나이퀴스트 정리, 샤논 정리 데이터통신에서 전송속도와 전송량을 구하는 공식을 알아봅니다. [ Contents ] 1. 변조 속도 (Baud) Baud = bps / (단위 펄스 당 변조된 비트 수) Baud는 1초동안 변조하는 횟수를 뜻하며, 초당 펄스 수라고도 합니다. 여기서 펄스(Pulse)란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일련의 파형을 말하며, 영미권에서는 심장박동을 'pulse'라고 가리킵니다. 펄스에 담을 수 있는 비트가 많을수록, 당연히 변조 속도가 빠릅니다. 위 예시는 진폭의 높이로 0과 1을 구분하는 ASK방식이며, 진폭이 높으면 1 낮으면 0입니다. 따라서 단위 펄스 당 1bit의 정보밖에 담을 수 없습니다. 반면 PSK나 QAM 등을 이용하면 4bit 이상의 정보도 담을 수 있으므로, baud가 높습니다. 2023.05.1.. 2023. 5. 11.
[데이터통신] PCM: 표본화(샘플링), 양자화, 부호화, 복호화, 여과(필터링)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하는 PCM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 Contents ] 1. PCM(Pulse-Code Modulation, 펄스 부호 변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해서 이진코드로 바꾼 기법 아날로그 신호를 모두 기록하려면 상당한 용량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신호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고 일부분만 기록해도 다시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한 변조기법입니다. PCM은 표본화(Sampling), 양자화(Quantiation), 부호화(Encoding) 과정을 거쳐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며 복호화(Decoding), 여파화(Filtering) 과정을 거쳐 다시 복원합니다. 1) 표본화.. 2023. 5. 10.
[데이터통신] 디지털 - 아날로그 신호 변환: ASK, FSK, PSK, QAM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에는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진폭(ASK), 주파수(FSK), 위상(PSK), 진폭(QAM)을 이용한 변조방식이 있으며 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ASK (진폭 편이변조, Amplitude Sheft Keying) 디지털 신호를 반송파의 진폭에 대응시켜 변조시키는 방법 반송파는 영어로 'Carrier signal'이며, 보내고자 하는 신호를 싣는 Carrier 역할을 합니다. 고주파성분은 노이즈의 영향을 덜 받고 장거리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할 때, 반송파를 사용하게 됩니다. ASK는 반송파의 '진폭'에 대응시켜 변조하는 방법으로, 진폭으로 0과 1을 구분합니다. 반송파는 고주파성분으로 사인(.. 2023. 5. 10.
[컴퓨터구조] 연산 속도와 메모리 용량의 단위와 호칭: KB, MB, GB, ... 컴퓨터 연산속도와 메모리 용량의 단위와 호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연산속도 단위 ms (milli 밀리) 10e-3 us (micro 마이크로) 10e-6 ns (nano 나노) 10e-9 ps (pico 피코) 10e-12 fs (femto 펨토) 10e-15 as (atto 아토) 10e-18 1초는 1000ms로, 0을 3개씩 붙이며 내려갑니다. 보통 프로그램이나 쿼리의 실행속도는 ms(밀리/초)에 그치지만, 슈퍼컴퓨터의 연산속도를 측정할 때에는 이하 단위들도 쓰게 됩니다. 보통 슈퍼컴퓨터의 연산속도는 플롭스(FLOPS, 1초당 처리할 수 있는 부동소수점 연산횟수) 단위를 사용하며, 속도보다는 1초당 수행가능한 연산횟수를 측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ms > us > .. 2023. 5. 8.
[데이터통신] 전송형식: 베이스밴드(기저대역)와 브로드밴드(광대역) 데이터 통신의 2가지 전송형식에는 '베이스밴드'와 '브로드밴드' 방식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Contents ] 1. 베이스밴드 (Baseband,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를 변조없이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 디지털 신호는 장거리 전송이 어렵고, 노이즈에 쉽게 변형되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근거리 전송에 이용되며, TDMA(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합니다. 매체는 꼬임선, 동축케이블을 사용하며, Half-Duplex(반이중 통신)을 지원합니다. ※ Half-Duplex(반이중 통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송수신은 불가능 (ex 무전기, WiFi) 2. 브로드밴드 (Breadband, 광대역)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 아날로그 신호는 노.. 2023. 4. 28.
[SW공학] CASE 자동화 도구의 개념과 종류 CASE 자동화 도구에 대한 개념과 그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CASE (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자동화를 지원하는 일련의 도구 CASE는 프로젝트 계획, 요구 분석, 설계부터 프로그래밍, 테스트까지 자동화한 통합 개발 도구입니다. 모든 단계에 걸쳐 일관된 방법론을 지원하며, 개발 속도와 편의성이 올라가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형화된 구조와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대규모 시스템 구축 업무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고 합니다. 2. CASE 분류 상위 CASE: 프로젝트 계획 수립, 요구 분석, 설계 중위 CASE: 자료 설계 하위 CASE: 프로그래밍, 설계 (DB) 프로그래밍 뿐만 아니라, 문서 작성까지.. 2023. 4. 28.
[SW공학] 리팩토링과 소프트웨어 역공학(리버스 엔지니어링) 기존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위해, 리팩토링과 소프트웨어 역공학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작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리팩토링 (Refactoring) 기능(동작) 변경 없이, 코드 가독성 향상이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작업 리팩토리는 성능 향상을 위해 하는 작업이 아닙니다. '코드 다듬기'에 가까우며, 복잡하거나 중복된 코드를 개선하거나 주석을 덧붙이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개발 중에 리팩토링을 하는 건, 사실상 아무런 진전이 되지 못합니다. 다만 추후에 유지보수할 때에는 큰 도움이 될 수 있겠죠. 물론 처음부터 코드를 잘 짜는 게 좋겠지만, 그게 안된다면 틈날 때마다 코드를 다듬어주는 게 좋습니다. 2. 소프트웨어 역공학 (Reverse Engineering.. 2023. 4. 28.
[SW공학]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인수 테스트 소프트웨어 공학에서는 유닛테스트,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인수 테스트를 거쳐 개발을 완료하게 됩니다. 해당 테스트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단위 테스트 (Unit Testing) (설계상) 최소 단위인 '모듈(Module)'의 동작 검증 '유닛 테스트' 라고도 불립니다. 주로 모듈 개발 후, 제대로 동작하는지 화이트박스 기법으로 테스트합니다. 2023.04.28 - [CS] - [SW공학] 화이트박스 테스트, 블랙박스 테스트의 개념과 종류 [SW공학] 화이트박스 테스트, 블랙박스 테스트의 개념과 종류 소프트웨어 공학의 테스트 기법에는 크게 화이트박스 테스트와 블랙박스 테스트가 있습니다. 해당 테스트 기법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2023. 4. 28.
[SW공학] 화이트박스 테스트, 블랙박스 테스트의 개념과 종류 소프트웨어 공학의 테스트 기법에는 크게 화이트박스 테스트와 블랙박스 테스트가 있습니다. 해당 테스트 기법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화이트박스 (White Box) 테스트 소스코드를 통해 소프트웨어 내부 구조나 동작을 세밀하게 검사하는 기법 '화이트박스'는 속이 훤히 보이는 투명상자를 뜻합니다. 소스코드를 직접 뜯어보면서 테스트하는 기법으로, 프로그램 내부 구조나 동작을 꼼꼼히 검사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종류에는 '제어흐름(조건문, 반복문)', '데이터 흐름(변수, 자료구조)', '분기', '경로' 테스트가 있습니다. - 테스트 검증기준 (커버리지, Coverage) 1) 문장 검증: 모든 문장이 한 번씩은 수행하는지 (안 쓰는 코드가 있는지) 2) 조건 검증:.. 2023.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