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 . . .31

[IP-R&D] 지식재산권의 종류와 국내외 특허 특성 (국제특허와 속지주의) 특허는 지식재산권에 분류됩니다. 지식재산권의 종류와 국내, 국외 특허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 Contents ] 1. 지식재산권이란? 지식재산권이란 '교육', '연구', '문화', '예술', '기술' 등 무형의 창조물에도 재산권을 부여하고 보호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지식재산권은 크게 '산업 재산권'과 '저작권'으로 분류되며, 산업재산권에 우리가 익숙히 알고 있는 특허가 있습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 = 특허'로 여기시면 안됩니다. 2. 산업재산권의 종류 정의 보호기간 특허 원천/핵심기술로서, 발명수준이 고도한 것 (대발명) 20년 실용신안 제품의 형상, 구조, 조합에 관한 실용성 있는 고안 (소발명) 10년 디자인 제품의 형상, 모양, 색채 등 외형 디자인 20년 상표 제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 2023. 4. 12.
[Atom] 아톰 에디터 설치 및 웹 개발 설정 (feat 패키지, 플러그인) [ Contents ] 1. Atom Atom은 VS code와 비슷한 '소스 코드 편집기', 즉 에디터입니다. IDE가 아니기 때문에, 개발 분야에 따라 설정과 플러그인 설치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웹 개발에 필요한 설정과 플러그인 설치를 해보겠습니다. A hackable text editor for the 21st Century At GitHub, we’re building the text editor we’ve always wanted: hackable to the core, but approachable on the first day without ever touching a config file. We can’t wait to see what you build with it. atom.io .. 2022. 4. 24.
[Tistory] 다크모드로 글 작성 시 주의해야할 점 (feat. Dark Reader) [ Contents ] 1. 다크 리더(Dark Reader) 저는 다크 모드를 좋아하기 때문에, 'Dark Reader'라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아마도 다크 모드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쓰지 않을까 싶습니다. CSS코드를 추가해서 다크 모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모든 웹페이지에서 매끄러운 다크 모드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걸 글 작성할 때도 사용하면 약간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2. 다크리더 인라인 코드 data-darkreader-inline-color Dark Reader를 켜고, 티스토리 에디터로 작성하면 위와 같은 태그 속성이 그대로 반영됩니다. 오류가 나진 않지만, 필요 없는 코드가 남게 됩니다. 불필요한 태그 속성을 남겨봐야 좋을 게 없습니다. 검색 반영에도 좋진 않겠죠.. 2022. 4. 7.
[Tistory] 티스토리 5분 만에 다크모드 적용하기 (feat. Dark Reader) 크롬의 확장 프로그램인 다크 리더를 이용해서, 티스토리 다크 모드를 적용합니다. [ Contents ] 1. 다크 리더(Dark Reader) Dark Reader — dark theme for every website Dark mode on all websites. Care your eyes, use Dark Reader for night and daily browsing. For Chrome and Firefox, Edge and Safari. darkreader.org 다크 리더는 '다크 모드'로 만들어주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입니다. 흔히 검은색 배경에 회색 글씨를 다크 모드라고 하며, 눈의 피로를 줄여줍니다. 다크 리더를 이용하면, 어느 사이트든 가독성 있는 다크 모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 .. 2022. 4. 6.
[Kaggle/캐글] 코스(Course) 하는 방법: Exercise 제출/정답확인, 진행도 올리기 캐글에서는 데이터 분석 기본 개념을 배우고, 실습할 수 있는 Course 교육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첫 코스인 Python을 시작하고 진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022.02.15 - [Etc . . .] - [Kaggle/캐글] 데이터 분석의 시작, 케글 초보자 가이드 [Kaggle/캐글] 데이터 분석의 시작, 케글 초보자 가이드 [ Contents ] 1. 캐글이란? 캐글은 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플랫폼입니다. 간단한 통계 분석, 데이터 시각화부터 머신러닝과 딥러닝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전세계의 데이터 과학자, 엔지니어 star7sss.tistory.com (캐글 설명은 위 링크를 참조하세요.) [ Contents ] 1. Python 코스 시작하기 캐글에서는 간단한 데이터 분.. 2022. 2. 15.
[Kaggle/캐글] 데이터 분석의 시작, 케글 초보자 가이드 [ Contents ] 1. 캐글이란? 캐글은 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플랫폼입니다. 간단한 통계 분석, 데이터 시각화부터 머신러닝과 딥러닝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전세계의 데이터 과학자, 엔지니어가 모여서 활동하며, 데이터 사이언스 계의 '깃허브'로 불립니다. Kaggle: Your Machine Learning and Data Science Community Kaggle is the world’s largest data science community with powerful tools and resources to help you achieve your data science goals. www.kaggle.com 위 링크는 캐글 사이트입니다. 무료로 가입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을 하고.. 2022. 2. 15.
[Github] 깃허브에서 브랜치(branch) 생성하고 활용하기 깃허브에서 브랜치를 생성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브랜치(Branch) Branch: 여러 명과 협업할 때, 분기를 나누어서 진행하고 병합할 수 있는 기능 브랜치는 '나뭇가지'와 같이, 여러 명과 협업할 때 각자 파트를 나눠서 코드를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여러 기능을 동시에 만들고 push하면 오류가 날 확률이 높고, 디버깅하기도 어렵습니다. 따라서 분기를 나눠서 기능을 다 만들면, 원래 프로젝트에 합치는(merge) 방법을 사용합니다. 2022.02.12 - [Etc . . .] - [Github] Add, Commit, Push 이해하기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Github] Add, Commit, Push 이해하기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Git.. 2022. 2. 14.
[Github] Add, Commit, Push 이해하기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Github에 소스코드를 업로드할 때, add / commit / push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의 관계를 통해, 해당 명령어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 1. Git과 Github 2022.02.12 - [Etc . . .] - [Github] 세계 최대 형상관리 시스템, 깃과 깃허브 알아보기 [Github] 세계 최대 형상관리 시스템, 깃과 깃허브 알아보기 [ Contents ] 1. 깃허브(Github) Github: 세계 최대 규모의 Git 호스팅 사이트 (이용자 수: 2800만 명) 마이크로 소프트(MS)에서 인수한 깃허브에서 무료로 소스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공개 star7sss.tistory.com Git.. 2022. 2. 12.
[Github] 깃허브 레포지토리(Repository) 생성하기 깃허브에서 레포지토리(원격 저장소)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2.02.12 - [Etc . . .] - [Github] 세계 최대 형상관리 시스템, 깃과 깃허브 알아보기 [Github] 세계 최대 형상관리 시스템, 깃과 깃허브 알아보기 [ Contents ] 1. 깃허브(Github) Github: 세계 최대 규모의 Git 호스팅 사이트 (이용자 수: 2800만 명) 마이크로 소프트(MS)에서 인수한 깃허브에서 무료로 소스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공개 star7sss.tistory.com (깃허브 관련 설명은 위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 Contents ] 1. 레포지토리(Repository, 원격저장소) 레포지토리는 원격 저장소라는 뜻으로, 깃허브에 업로드된 프로젝트.. 2022. 2. 12.